당뇨병과 우울증의 상호 연관성 및 중요성
국제 당뇨병 연맹에 따르면, 당뇨병은 21세기 최대의 글로벌 건강 비상 사태 중 하나입니다. 2015년 전 세계 성인 11명 중 1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15명 중 1명이 내당능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특히 도시 인구에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당뇨병에 소비되는 전 세계 건강 지출의 12%에 더 큰 의료 및 경제적 도전 과제를 추가할 것입니다. 최근 루마니아 인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당뇨병은 루마니아 의료 시스템의 주요 문제 중 하나로, 당뇨병 유병률은 11.6%, 전당뇨는 16.5%로 나타났습니다. 우울증은 흔하고 매우 심각한 의학적 질병으로, 평생 유병률은 저소득 국가에서 약 11%, 고소득 국가에서 약 15%입니다. 평생 정신 건강 문제를 겪을 위험은 약 50%이며, 이는 고용, 생산성 및 임금의 감소로 이어집니다. 선진국에서 우울증과 불안은 장애 조정 생존 연수(DALYS)에서 각각 4위와 8위를 차지합니다. 미국 정신의학회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5)에 따르면, 우울증은 개인의 기능을 변화시키는 여러 증상을 포함하는 기분 장애입니다. 주요 우울 장애의 진단 기준은 핵심 증상인 기분 저하 또는 흥미 감소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와 함께 다음 증상 중 최소 네 가지를 포함합니다: 죄책감 또는 무가치감, 피로 또는 에너지 상실, 집중력 문제, 자살 생각, 체중 변화(5% 변화), 정신 운동 변화, 수면 변화(과다 수면 또는 불면증)가 2주 이상 지속됩니다. 우울증은 첫 에피소드, 재발 또는 만성 에피소드로 나뉠 수 있으며, 경증, 중등도, 중증, 정신병적 특징이 있는 경우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당뇨 전단계 환자와 진단되지 않은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 유병률이 중등도로 증가하며, 이전에 진단된 당뇨병 환자에서는 현저히 증가하는 증거가 있습니다.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 유병률은 최대 3배,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두 배로 증가합니다. 불안은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환자의 40%에서 나타납니다.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과 불안의 존재는 당뇨병의 예후를 악화시키고, 의료 치료에 대한 비순응을 증가시키며, 삶의 질을 낮추고, 사망률을 증가시킵니다. 반면 우울증은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을 60%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당뇨병과 우울증 사이에는 상호 연관성이 있으며, 복잡한 관계는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면 이러한 병리의 치료를 개선하고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 리뷰의 목적은 당뇨병과 우울증의 연결을 보여주고,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을 식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두 질병을 해결하는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당뇨병과 우울증의 상호 연관성: 병태생리학적 메커니즘
당뇨병과 우울증의 동반 질환이 개인의 건강과 의료 시스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난 10년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2015년의 두 리뷰에 따르면, 당뇨병과 우울증의 연관성에는 세 가지 가능한 방향이 있습니다: 두 질환이 공통된 원인을 가질 수 있으며, 당뇨병이 우울증의 위험을 증가시키거나, 우울증이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울증은 보통 20대 초중반에 시작되며, 당뇨병 1형(DM1)은 어린 시절이나 청년기에 나타나며 매일 인슐린 주사가 필요하고, 당뇨병 2형(DM2)은 중년기에 나타나며 식이 요법, 생활 습관 변화, 경구 약물 또는 인슐린 주사가 필요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당뇨병과 우울증 사이의 긍정적인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는 공통 유전 요인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환경적 요인(후성 유전적 요인)은 DM2와 우울증을 촉진하는 공통 경로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로, 이는 DM2와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 부족, 운동 부족, 식습관도 DM2와 우울증의 공통 원인입니다. 이러한 요인을 고려할 때, 스트레스 시스템의 활성화와 교란이 공통 경로의 주요 후보가 될 수 있습니다. 만성 스트레스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HPA 축)과 교감 신경계를 활성화하여 부신 피질에서 코티솔을, 부신 수질에서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을 증가시킵니다. 만성 고코티솔 혈증과 교감 신경계의 장기 활성화는 인슐린 저항성을 촉진하고 내장비만을 유도하여 대사 증후군과 DM2를 초래합니다. 또한, 만성 스트레스는 행동적인 결과를 초래하여 불안, 식욕 부진 또는 과식을 유발하며, 보상 시스템의 민감도를 감소시켜 우울증과 음식 또는 스트레스에 대한 갈망을 유발합니다. 과도한 코티솔은 해마의 신경 생성에 영향을 미쳐 우울증과 DM2에 관여합니다. 또한, 만성 스트레스는 면역 기능을 직접 또는 HPA 축이나 교감 신경계를 통해 교란시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증가시킵니다. 높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췌장의 β세포의 정상 기능을 방해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하여 DM2를 촉진합니다. 많은 새로운 연구들은 염증 반응이 우울증의 병태생리에 관여한다고 제안합니다.
DM1 환자는 DM2보다 더 복잡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DM1의 발병 시기는 우울증의 취약성이 높은 시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당뇨병을 가진 어린이와 청소년은 당뇨병이 없는 청소년보다 두세 배 더 높은 우울증 유병률을 보입니다. 소아 DM1의 경우, 혈당 조절이 좋지 않은 것은 우울증과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와 관련이 있으며, 혈당 조절이 악화될수록 우울증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이와 같이, DM1과 우울증은 전통적으로 생각되었던 것과는 달리, 공통된 병태생리학적 경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울증 환자의 당뇨병 위험
우울증 환자는 제2형 당뇨병(DM2) 발병 위험이 높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항우울제 사용이 혈당 조절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항우울제를 사용할 경우 Hb A1C 수치가 증가하여 혈당 조절이 어려워집니다. 단기적으로 항우울제 치료는 우울증과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반대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혈당 조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항우울제입니다. 항우울제의 지속적인 사용은 당뇨병 위험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습니다. 또한, 당뇨병이 있는 우울증 환자는 자살 및 입원 같은 우울증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항우울제가 혈당 조절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이해하고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뇨병 환자의 우울증 위험
최근 연구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는 우울증이 더 흔하며, 이는 진단 여부와 관계없이 나타납니다. 특히, 당뇨병을 알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불안이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이는 병에 걸렸다는 심리적 부담 때문일 수 있습니다. 진단되지 않은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이 더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신체 활동 부족, 불건전한 식습관, 스트레스 등 불리한 생활습관 때문일 수 있습니다. DM2 환자에서 심한 저혈당은 항우울제 치료와 상관없이 우울증 증상의 심각성과 연관이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에서 항당뇨 치료가 우울증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가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40대 당뇨병 환자에서 경구 치료가 우울증과 강하게 연관되었으나, 노인 환자에서 인슐린 치료는 우울증 증상을 개선했습니다. 당뇨병은 뇌 구조 변화를 일으키며, 특히 해마 부위의 뇌 용적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HbA1C는 해마 용적의 중요한 예측 인자입니다. 우울증도 전두엽과 해마에서 신경퇴행 과정을 유발합니다. 만성 염증에 의한 신경퇴행-우울증 과정의 주요 메커니즘으로는 인돌아민 2, 3-디옥시게나제 효소 활성 증가와 관련된 경로와 인터페론 유도 유전자 산물의 증가가 있습니다.
당뇨병과 우울증의 임상적 영향과 관리
당뇨병과 우울증이 함께 있을 경우, 미세 및 대혈관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고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며 사망률이 높아집니다. 특히 노인에게서는 합병증이 더 빨리 나타납니다. 두 질환이 함께 있으면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되므로,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을 조기에 인식하고 동시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많은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은 진단되지 않거나 치료되지 않습니다. 정기적인 당뇨병 검진에서 간단한 우울증 선별 검사를 도입하면 결과가 개선될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이 진단되면 두 질환을 동시에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Petrak 등의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 치료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는 약물 반응이 빠르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기분이 나아지면 당뇨병 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도 향상될 수 있습니다. 당뇨병과 우울증을 유발하는 공통 요인을 찾아 관리하는 것도 새로운 접근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운동, 식이 조절, 충분한 휴식과 수면, 사회적 상호작용, 명상 등의 생활습관 변화는 두 질환 모두에 도움이 됩니다.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 인식과 관리의 중요성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는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정신 질환으로 인한 부담과 이를 예방 및 치료할 자원 간의 격차가 큽니다. 특히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는 심각한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5명 중 4명이 필요한 정신 건강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은 여전히 과소 진단되고 있으며, 당뇨병 전문가는 이 흔한 동반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뇨병 환자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은 질병 결과를 개선하고, 장애 조정 생존 연수(DALY)와 사망률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Bădescu SV, Tătaru C, Kobylinska L, Georgescu EL, Zahiu DM, Zăgrean AM, Zăgrean L. The association between Diabetes mellitus and Depression. J Med Life. 2016 Apr-Jun;9(2):120-5. PMID: 27453739; PMCID: PMC4863499.
'논문 대신 읽어드립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탄수화물 케톤식의 비만 관리 효과와 실질적 권장 사항 (0) | 2024.07.19 |
---|---|
미세먼지와 심혈관질환 위험사이의 관계 (0) | 2024.07.18 |
피부 상재균 연구를 통한 여드름 치료의 새로운 접근 (0) | 2024.07.17 |
코로나 감염에서의 비타민 D의 역할 (0) | 2024.07.17 |
붙이는 비만치료제의 원리와 효과 소개 (0) | 2024.07.16 |